💍 2025 신혼부부 결혼축하금(결혼장려금) — 전국 정리 (대전 포함)
요약: 2025년 현재 여러 지자체가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결혼축하금(결혼장려금)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지원금액·대상(연령/초혼/거주기간)·지급방식·신청기한이 지자체마다 크게 다르니, 본문에서 대표 사례(대전·서울 포함)와 빠른 확인 방법을 꼭 확인하세요. ✨
1) 대표 지자체별 지원 사례 (요약표) 🗺️
아래는 2025년 기준 대표적인 지자체 사례입니다. 세부 요건·신청기한·지급 방법은 공고마다 다르므로 반드시 각 지자체 공고 확인하세요.
지자체 | 지원금액(대표) | 주요 조건(요약) |
---|---|---|
순창군(전북) | 최대 1,000만 원 | 청년 계층, 일정 거주기간 충족 |
김제시·장수군(전북) | 1,000만 원 | 거주기간·연령 요건 |
화순군(전남) | 최대 1,000만 원 | 외국인 배우자·재혼 포함 지원 |
영동군(충북) | 1,000만 원 | 청년부부, 거주요건 |
공주시(충남) | 500만 원 | 연령 제한, 혼인신고일 요건 |
충남 일부 시군 | 최대 300~770만 원 | 시군별 상이 |
군산시(전북) | 100만 원 | 초혼자, 연령 요건 |
대전광역시 | 1인 250만 원 / 부부 최대 500만 원 |
만 18세 이상~39세 이하 청년, 초혼 대전시 6개월 이상 거주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신청 지급: 전용통장(두리하나통장) 필요 |
2) 서울시(별도 안내) — 신청 예정 안내 🌆
서울시 결혼축하금 핵심 조건
- 💰 지원금액: 현금 100만 원
- 📅 대상 혼인신고: 2025년 7월 14일 이후 혼인신고 부부
- 👥 소득기준: 2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(예: 약 589만 원 이하)
- 🧾 결혼살림 지출 증빙 필수 제출
서울시는 2025년 10월 신청 공고 예정입니다. 신청 시기와 세부 절차는 반드시 추후 공고를 확인하세요.
3) 신청 전 반드시 확인할 것들 ✅
- 거주요건(주민등록 기준/실제 거주기간) — 지자체마다 다름
- 연령 제한 및 초혼 요건 — 일부 지자체는 초혼자 한정
- 혼인신고일 기준 및 신청기한(혼인신고 후 몇 개월 이내 등)
- 지급 방식(일시 지급/분할 지급) 및 전용계좌 개설 필요 여부
- 필요서류: 혼인관계증명서, 주민등록초본, 소득증빙, 지출증빙 등
4) 빠르게 찾아보는 방법 🔎
- 정부24 → 보조금24에서 ‘결혼축하금’ 검색 후 본인 지역 확인
- 지자체 홈페이지(시/군/구청) → 인구정책과 / 가족정책과 / 주민복지과 공지 확인
-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또는 전화 — 가장 빠르고 정확한 안내
결혼축하금 이름이라도 지역마다 지원금액 조건 신청기간이 전부 달라요.
빠르게 찾아보는 방법은
정부24 : 보조금24 → 결혼축하금 입력 후 본인 지역 확인
지자체 홈페이지 → 시/군/구청 : 인구정책과/가족정책과/주민복지과 공지 확인
읍/면/동 행정복지센터 → 가장 빠르고 정확한 안내가 가능합니다.
현재 경기도는 종료가 됐고 서울은 10월 신청 예정이니, 조건이 맞는지 확인해보시고 결혼하고 정부·지자체에서 주는 결혼축하금도 꼭 챙겨보세요! 💕